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알아보기

    2024년에 발생한 소득에 대한 종합소득세는 2025년 6월 2일까지 신고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종합소득세 신고방법과 주요 내용을 알기 쉽게 설명해 드립니다.

    1.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안내

    종합소득세는 개인이 한 해 동안 벌어들인 소득(사업·근로·연금·기타소득 등)을 합산하여 신고·납부하는 세금입니다. 다음은 종합소득세 신고 절차와 방법을 안내해 드립니다.

     

     

    신고방법 알아보기

     

     

    1.1. 홈택스를 통한 전자신고 방법

    1. 홈택스 접속: 국세청 홈택스(www.hometax.go.kr)에 접속하여 로그인합니다.
    2. 신고서 선택: '종합소득세 신고서비스'를 클릭하고 신고하려는 연도를 선택합니다.
    3. 신고서 작성: 소득유형별로 금액을 입력하고, 소득공제 및 세액공제 항목을 입력합니다.
    4. 신고서 제출: 작성이 완료되면 신고서를 제출하고 납부할 세액을 확인합니다.
    5. 세금 납부: 가상계좌, 신용카드, 계좌이체 등 원하는 방법으로 세금을 납부합니다.

    TIP: 홈택스와 위택스(지방세)를 실시간 연계하는 원클릭 전자신고시스템을 통해 국세와 지방세를 동시에 편리하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종합소득세 신고 완료 후 '개인지방소득세 신고 이동' 버튼을 클릭하면 위택스로 자동 전환됩니다.

     

     

    2025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대상 납부기한 세율2025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대상 납부기한 세율2025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대상 납부기한 세율

     

     

     

    1.2. 모바일 신고방법 (손택스)

    1. 손택스 앱 설치: 모바일 앱스토어에서 '손택스' 앱을 다운로드합니다.
    2. 로그인: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또는 간편인증으로 로그인합니다.
    3. 종합소득세 신고: 메인 화면에서 '종합소득세 신고'를 선택합니다.
    4. 신고서 작성: 화면의 안내에 따라 단계별로 신고서를 작성합니다.
    5. 신고서 제출: 작성이 완료되면 신고서를 제출하고 세금을 납부합니다.

    1.3. 세무서 방문 신고

    인터넷 사용이 어려운 경우, 가까운 세무서를 방문하여 신고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다음 서류를 준비해야 합니다:

    • 종합소득세 과세표준확정신고 및 납부계산서
    • 소득금액계산서 (사업소득이 있는 경우)
    • 소득공제, 세액공제 증빙서류
    • 신분증

     

     

     

    2.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

    다음과 같은 소득이 있는 경우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입니다:

    • 사업소득: 개인사업자의 사업소득, 부동산임대소득 등
    • 근로소득: 다수 근무지에서 받은 소득을 합산하여 연말정산을 하지 않은 경우
    • 연금소득: 공적연금소득과 다른 소득이 함께 있는 경우, 연간 1,500만원 초과 사적연금
    • 기타소득: 연간 기타소득금액이 3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2025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대상 납부기한 세율2025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대상 납부기한 세율2025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대상 납부기한 세율

     

     

    3. 신고가 필요 없는 경우

    • 근로소득만 있고 연말정산을 완료한 경우
    • 퇴직소득과 연말정산 대상 사업소득만 있는 경우
    • 비과세 또는 분리과세되는 소득만 있는 경우
    • 연 300만원 이하인 기타소득이 있는 자로서 분리과세를 원하는 경우

    4. 소득별 신고방법

    4.1. 사업소득

    단순경비율 적용 대상 사업소득자의 사업소득금액은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사업소득금액 = 총수입금액 – 필요경비(총수입금액 × 단순경비율)

    4.2. 근로소득

    일반적으로 근로소득은 연말정산을 하므로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 아닙니다. 다만, 다음의 경우에는 신고해야 합니다:

    • 2군데 이상에서 근무하고 해당 근로소득을 합산하여 연말정산을 하지 않은 경우
    • 근로소득 외에 다른 소득(사업소득, 연금소득, 기타소득)이 있는 경우

     

    신고방법 알아보기

     

    5. 신고납부기한

    • 일반: 2025년 6월 2일까지
    • 성실신고확인서 제출자: 2025년 6월 30일까지

    📢 특별 안내: 2024년 귀속 종합소득세 확정신고와 관련하여 일부 납세자(제주항공 여객기 피해자 및 유가족,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수출중소기업, 특별재난지역 소재 납세자)에 대해서는 납부기한이 2025년 9월 1일까지 연장되었습니다.

    6. 종합소득세 세율 (2023~2024년 귀속)

    과세표준 세율 누진공제액
    1,400만원 이하 6% -
    1,400만원 초과 5,000만원 이하 15% 126만원
    5,000만원 초과 8,800만원 이하 24% 576만원
    8,800만원 초과 1억5천만원 이하 35% 1,544만원
    1억5천만원 초과 3억원 이하 38% 1,994만원
    3억원 초과 5억원 이하 40% 2,594만원
    5억원 초과 10억원 이하 42% 3,594만원
    10억원 초과 45% 6,594만원

    세액 계산 예시:

    과세표준 3,000만원 × 세율 15% - 누진공제액 126만원 = 324만원

    7. 신고하지 않을 경우의 불이익

    • 각종 세액공제 및 감면을 받을 수 없습니다.
    • 무신고 가산세: 무신고납부세액의 20% 또는 수입금액의 0.07% 중 큰 금액
    • 납부지연가산세: 미납·미달납부세액 × 미납기간(일) × 0.022%

    마무리

    종합소득세 신고는 매년 꼭 해야 하는 중요한 의무입니다. 정확한 신고와 납부를 통해 가산세 부담을 줄이고, 다양한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개인의 상황에 따라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하시면 국세청 홈페이지나 세무서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025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대상 납부기한 세율2025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대상 납부기한 세율2025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대상 납부기한 세율
    2025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대상 납부기한 세율2025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대상 납부기한 세율2025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대상 납부기한 세율
    2025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대상 납부기한 세율2025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대상 납부기한 세율2025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대상 납부기한 세율
    2025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대상 납부기한 세율2025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대상 납부기한 세율2025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대상 납부기한 세율
    2025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대상 납부기한 세율2025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대상 납부기한 세율2025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대상 납부기한 세율